최근 계속 논란인 전세사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앞서서 정말로 돈을 돌려주지 않을 목적으로 사기를 치는 범죄자와 전세금을 다른 투자처에 투자했다가 그 상품(주식, 부동산 등)이 지금 얼어붙은 실물 경제 때문에 처분하지를 못해서 '돌려주지 못하는' 경우를 구분해야겠습니다.
물론... 돌려받지 못하고 있는 세입자들은 마음이 많이 힘들겠지만요.
전세제도의 수명 자체가 한계가 온 것이 아닌가 합니다.
https://www.bbc.com/korean/features-64209113
한국의 전세 제도, 역사 속으로 사라질까? - BBC News 코리아
최근 전세에 비해 월세 매물을 찾는 세입자가 늘고 있다.
www.bbc.com
전세 사기 수법 총정리.
1. 빌라의 신 사기: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에서 빌라 3,493채를 무갭투자로 사들인 뒤 세금 72억 원을 내지 않아 자기 소유 주택 100채에 압류가 걸리게 한 사기.
2. 세 모녀 사기: 빌라 약 500채를 의도적으로 깡통전세 구조로 만들어 피해자 355명에게 795억 원을 '먹튀'한 사기.
3. 빌라왕 사기: 임차인의 보증금으로 다른 집을 사들이는 일명 '돌려막기' 수법으로 빌라 1,139채를 매입해 피해자 1인당 최소 1억 원대에서 수억원대의 피해를 입힌 사기.
4. 신림동 신탁등기 사기: 고시촌에서 신탁등기의 맹점을 이용해 실질적 소유권이 없으면서도 빌라 전세 계약을 체결해 30여 명에게 20억여 원의 피해를 입힌 사기.
5. 수원 근저당 사기: 17명의 피해자ㄷ에게 깡통전세 빌라를 빌려주고 보증금 20억 5,000만 원을 챙긴 사기. 피해자가 전입신고를 하기 전 해당 빌라를 담보로 대출받고 근저당권을 설정.
6. 인천 건축왕 사기: 집을 짓고 대출과 전세보증금을 동시에 받아 다른 주택을 신축하는 방식으로 보유 주택을 2,700채 이상으로 늘려 500여억원의 피해를 남긴 사기.
전세 사기, 왜 끊이지 않을까?
계약 주체 간 정보의 비대칭이 심하기 때문입니다. 임대인은 내 집과 관련한 문제를 정확히 알지만 임차인은 모르기 때문입니다. 가령 공인중개사만 믿고 계약했는데 깡통전세였다거나, 권리변동 사항을 실시간으로 넣을 수 없는 등기사항증명서의 맹점을 이용한 사기 수법에 임차인은 당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계약 때 임차인이 임대인에게 선수위보증금 확인 등을 요청하면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는 법이 최근 시행에 들어가긴 했습니다. 2020년부터 국회에서 잠자고 있던 법이 최근 전세 사기 이슈로 뒤늦게 통과된 겁니다.
역전세 3개월 만에 2배 증가
서울 아파트 역전세가 1만 건을 넘어섰습니다. 한 부동산업체에 따르면 최근 3개월간 전세 시세와 기존 전세보증금 역전 현상 발생 건수는 1만 751건이었습니다(4월 25일 기준). 지난 2월초(5,346건) 대비 2배 가까이 늘어난 겁니다.
지역별로는 송파구(1,087건)가 가장 많았고, 강동구(1,074건)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 전셋값 하락에 역전세 현상이 심해지며 보증금 미반환 사례가 늘어날 거란 전망이 나옵니다.
집값 하락에 취득세 3,900억 원 감소
경기도 곳간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부동산 경기 침체로 전보다 취득세가 덜 걷힌 겁니다. 올 1분기 경기도에서 걷은 취득세는 1조 9,874억 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3,960억 원 줄었습니다.
올 들어 경기도 아파트 월간 매매거래량은 9,000건대(3월)로 회복했지만, 취득세수와 직결되는 실거래가가 너무 하락해
2분기에도 곳간 사정은 좋지 않을 전망입니다.
실거주 의무 완화 보류
정부의 '실거주 의무 완화'에 제동이 걸렸습니다. 전세 사기 피해가 그 원인입니다. 실거주 의무를 없애면 갭투자 등 투기 수요가 늘어날 것이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최근 여야는 관련 법안을 담은 개정안을 심사했지만 전세 사기의 영향으로 논의조차 하지 못했습니다. 올 초 투자 목적으로 신축 아파트를 분양 받은 입주 예정자들은 발을 동동 구를 것으로 보입니다.
허위 매물 처분 기준 통일합니다
정부가 부동산 허위 매물 처분 기준을 통일하는 방안을 검토합니다. 현재 포털과 부동산중개 플랫폼 간 처벌 기준이 제각각이라 동일한 기준의 더 강력한 규정을 만들겠다는 겁니다. 허위 매물이 전세 사기 등으로 이어지는 사례가 많다는 게 정부의 생각입니다.
단, 처벌 규정은 업체별 사정에 맞게 설정해야 하는데 강한 규제가 나오면 수익성 측면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옵니다.
이상입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2023.05.09 - [건쌤의 일상/투자 잡담] - 펌) 2023년 1분기 버크셔 헤서웨이 주주총회 요약.
펌) 2023년 1분기 버크셔 헤서웨이 주주총회 요약.
https://m.blog.naver.com/jeunkim/223096941174 2023년 버크셔 해서웨이 주주총회 요약 ※ 빠진 부분도 있지만, 아쉬운 대로 읽어 봅니다. 빠진 부분은 추후에 다른 글로. 최근 시장 변동성과 경... blog.naver.com
ghfgu.tistory.com
2023.04.27 - [건쌤의 투자 종목 별 전망 및 소식/한국 조선] - HD한국조선해양 2023. 1Q 컨퍼런스콜 내용 정리. (HD현대중공업, 현대미포조선, 현대삼호중공업)
HD한국조선해양 2023. 1Q 컨퍼런스콜 내용 정리. (HD현대중공업, 현대미포조선, 현대삼호중공업)
금일 진행된 컨퍼런스콜을 요약해보겠습니다. 오늘 본업 때문에 앞의 내용은 듣지를 못해 공유받은 글귀와 함께 정리하여 포스팅 합니다. 직접 청취한 부분은 애널리스트분들의 질문부터입니
ghfgu.tistory.com
2023.04.26 - [건쌤의 투자 종목 별 전망 및 소식/아처 데니얼스 미들랜드 (ADM)] - 거대 곡물주 ADM, 2023. 1분기 실적 발표 어닝콜 요약.
거대 곡물주 ADM, 2023. 1분기 실적 발표 어닝콜 요약.
어제 ADM의 실적이 발표된 후 주가가 하락했습니다. 퍼스트리퍼블릭 은행의 -50% 주가 폭락과 함께 투자심리가 위축되며 더욱 많이 하락한 것 같은데요. 실적은 무난히 잘 나왔으나 자세한 분석을
ghfgu.tistory.com
'이론 공부 > 주식 이론 및 필수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대 연 4.5% 금리, 청년 주택드림 통장 무조건 가입해야하는 이유! (5) | 2023.12.07 |
---|---|
삼성증권, 연금저축 계좌에 대해서 알아보자. (실제 투자인증,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ETF) (2) | 2023.04.12 |
[공유] 해외주식 스터디&분석에 유용한 사이트 모음. (0) | 2023.04.07 |
경제 용어 정리: 국제 수지란 무엇일까? (0) | 2023.03.04 |
2023년 1월 30일, 특례보금자리론 출시: 집값 떠받치기 논란? (0) | 2023.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