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론 공부/주식 이론 및 필수 TIP

삼성증권, 연금저축 계좌에 대해서 알아보자. (실제 투자인증,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ETF)

건쌤 2023. 4. 12. 14:05
반응형

국민연금 고갈 이슈로 인해 연금에 대한 불신이 커진 만큼 개인연금 미리미리 준비해야겠죠?
 
다양한 증권사에서 연금 저축펀드, 연금 저축보험 등을 소개하고 있는데, 저는 제가 주로 사용하는 삼성증권의 연금 저축계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삼성증권의 연금저축 계좌입니다.
기본적으로 납입을 할 수록 금액만큼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어, 투자 수익과는 별개로 연말정산에서 절세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양한 상품에 투자가 가능하기에 본인이 직접 운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죠.
 

가입대상은 남녀노소 누구나 가능하고 연 최대 900만 원, 연금저축만 운용한다면 최대 600만 원의 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절세 또한 투자에서 아주 중요한 요소이기에 미리미리 준비해두는것이 유리합니다.
 

 
4.5천만 원 이하에서 16.5%나 세액공제를 해주기 때문에 월 적립식으로 꾸준히 납입하신다면 절세와 장기투자를 동시에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연금저축 계좌에 투자할 시 유의할 점을 알아보겠습니다.

 

1. 2030 세대 같은 젊은 연령층은 향후 목돈이 들어갈 일이 있기에 너무 많은 금액을 납입하시는 것은 주의하셔야겠습니다.

무리하게 납입했다가 해지를 해야하는 불상사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예시, 결혼 자금, 내집마련 자금, 자동차 구입 및 각종 경조사 등)
 

2. 중도해지가 불가능하다고 생각하셔야 하므로 장기적으로 꾸준히 적립하셔야 합니다.

중도해지 시 과세 혜택을 받은 만큼 다시 납부해야 합니다.
 

3. 단기적인 종목 투자나 사이클 산업을 연금계좌로 선택하신다면 장기적인 수익률이 좋지 못할 수 있습니다.

아주 오랜 기간 투자해야 하기 때문에 지수형 ETF나 펀드, 채권형 펀드, MMF, 리츠 등 다소 안정적인 상품이 어울립니다.
 


실제 투자 인증

 

 
삼성증권 어플의 메뉴에서 연금저축 ETF/리츠 주문으로 가시면 신규 종목을 매수하실 수 있습니다.
자금을 넣어두고 종목을 매수하지 않을 시 자동으로 MMF 펀드에 매수가 되기 때문에 '연금저축펀드매도'를 클릭하셔서 MMF 펀드를 해지하시고 신규 주문을 하시면 됩니다.
 

 
건쌤이 선택한 ETF는 미국의 유명한 ETF인 SCHD를 추종하는 한국형 월배당 SCHD.
SOL 미국배당다우존스입니다. 최근 환헷지 버전도 나왔지만 저는 장기적인 환율의 평균값 상승을 고려하여 환노출 상품으로 선택했습니다.
 
[환헷지 버전은 SOL미국배당다우존스(H)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아직 상장한 지 얼마 되지 않아 데이터가 많지는 않지만 SCHD는 SPY를 미세하게 이길 만큼 좋은 퍼포먼스를 보여준 ETF이며, 연평균 12% 정도의 배당성장을 보여주기에 장기적으로 ETF에서 받을 수 있는 분배금이 늘어난다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
 
더군다나 월배당을 지급하는 ETF이기 때문에 자금의 규모가 커질수록 매월 공짜로 추가매수할 수 있는 주식의 수도 늘어날 수 있어 복리효과를 극대화하기 좋은 상품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운용 보수는 기타 비용을 제외하고 기본 0.05%로 매우 저렴한 편입니다. 아직 기간이 짧아 기타 보수를 확인하지 못했지만 높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분배금 또한 데이터가 부족하지만 신한투자증권에서 연 3.1~3.3% 정도의 배당률을 목표로 한다고 합니다.
 

 
적립을 시작한 제 계좌입니다. 
 

출처:유튜브 수페TV

 
자료는 각종 배당 ETF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수페 TV님의 자료를 첨부했습니다.
 

 
SCHD에 직접 투자하는 방법도 매우 좋지만, 저는 연금 상품으로 절세 혜택을 누리면서 투자하고 싶기에 다소 부족한 배당률과 퍼포먼스를 보일지라도 국내 ETF에 투자하는 방법을 선택했습니다.
 

SCHD의 장기투자 수익률

 
장기투자를 하는 데 있어 상장폐지의 위험도 없고, 주로 안정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가진 기업들이 다수 포진된 SCHD이기에 변동성이 적으면서 주가의 상승과 배당 상승을 동시에 챙길 수 있는 SCHD야 말로 연금 저축에 가장 어울리는 ETF가 아닌가 싶습니다.
 
모두들 연금 준비 잘하셔서 편안한 노후 보내시길 기원합니다.
 
  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