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건쌤입니다. 현지시간 기준 미국 시장은 오전까지 상승세를 보이며 잘 버티다가, 오후부터 급락을 맞이했습니다. 소비자물가 지수가 7.5% 상승을 보이며 예상치를 상회하자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얼마나 공격적인지 보여주는 단서로 보고서에 집중했습니다.
10년 물 국채 수익률은 2%를 넘어섰고, 단기 수익률도 급격히 상회했습니다.
다우: -1.472%
S&P500: -1.812%
나스닥: -2.103%
미국 단기 채권의 금리는 상승하고 중 장기채권은 상승하였습니다.
시장은 하락세를 보이며 국제유가는 상승
암호화폐는 하락했습니다.
주간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223,000건으로 예상치 230,000건을 밑돌았습니다.
씨티그룹의 경제학자들은 연준이 3월 기준금리를 50bp 인상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씨티 이코노미스트는 1월 핵심 CPI의 세부 사항은 "연준이 예상한 대로 둔화되기보다는 약 6%의 인플레이션이 지속되고 더 광범위하게 퍼지고 있음을 나타냅니다"라고 합니다.
"우리는 이제 연준이 3월에 50bp의 금리를 인상한 후 5월, 6월, 9월, 12월에 4번의 25bp 인상을 예상합니다.
바이든 전 부통령은 보도자료에서 오늘 보고서가 높아졌지만 예측가들은 2022년 말까지 인플레이션이 상당히 완화될 것으로 계속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바이든 전 부통령의 발언은 노동부가 1월까지 12개월 동안 소비자 물가가 7.5% 올랐다고 발표한 지 약 2시간 만에 나온 것입니다.
다음 주는 FOMC 회의록 공개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저는 경기 방어주 위주로 포트를 꾸리고 있고, 겹치는 섹터들의 종목을 정리하여 현금을 많이 확보하고 있습니다.
3월까지는 계속 보수적으로 지켜보려합니다.
'미국 주식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넷플릭스 주가... 왜 하락 했을까? 실적 리뷰와 분석 (컨퍼런스 콜) feat. 빌 에크먼 손절 (0) | 2022.04.21 |
---|---|
2022년 3월 증시 캘린더 확인하세요 ! (Feat. 토스증권) (0) | 2022.03.02 |
22.02.03 미국증시 시황 (Feat. 메타 플렛폼즈, 페이팔 급락/ 실적 좋은 기업만 살아남는다) (0) | 2022.02.03 |
파월의 매파적인 발언, 긴축우려로 인한 계속된 하락, 1.28 뉴욕증시 시황 (0) | 2022.01.28 |
14거래일 연속 하락! 미국주식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나스닥 폭락 (2) | 2022.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