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금 받는건 생각보다 간단해요.
배당은 기업이 낸 이익을 주주에게 나눠주는 것이거든요.
그럼 기업들은 왜 배당을 할까요?
1주만 가지고 있어도 그 기업의 주식을 갖고 있다면 배당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12월 말이 배당기준일 이라면 아직 배당금을 받을 기회는 있어요!
배당금을 받으려면, 언제 사서 언제까지 갖고 있어야 하나요?
'배당기준일'로부터 2영업일 전 장이 마감되기 전에
증권사 앱에서 '구매하기'를 눌러 거래가 성사됐다면,
배당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9.gif)
배당기준일은 또 뭐고, 왜 당일이 아니라 이틀 전이냐고요?
차근차근 하나씩 설명해드릴게요.
배당기준일이 뭔가요?
배당은 기업이 낸 이익을 주주들에게 나눠주는 것인데요.
어디까지 나눠줄지 기준이 필요합니다.
"나 며칠 전까지 주주였어", "일주일 있다가 월급 들어오면 이 주식 살거야"
라는 사람들까지 배당금을 나눠줄 수는 없겠죠.
그래서 기업은 배당할 때마다 '기준일'을 미리 정해두고
이날 주주명부에 등록되어 있는 사람에게만 배당금을 지급해요.
왜 당일이나 하루 전에 사면 늦나요?
토스증권 앱에서 구매에 성공했다고 해서
곧바로 주주명부에 등록되는 건 아니기 때문이에요.
주식 거래 성사 후 그 기업의 주주명부에 등록되기까지는
이틀 정도의 시간이 걸리거든요.
(만약 휴일이 끼면 그만큼 시간이 더 걸리겠죠?)
그러니 만약 배당기준일 전날에 배당주를 샀다면,
배당기준일에는 아직 주주명부에 등록되지 않을 거고
당연히 배당금도 받을 수 없게 됩니다.
그래서 배당기준일 전날을 배당에서 탈락한 날, '배당락일'이라고 불러요.
그럼 배당기준일 전에 주식을 팔아도 배당받을 수 있나요?
네, 맞습니다. 받을 수 있어요. 거래 성사 후 주주명부에 등록되기까지
2영업일이 걸린다고 말씀드렸죠?
마찬가지로 주주명부에서 내 이름이 지워지는 데에도 2영업일이 걸려요.
배당기준일 전날에 주식을 팔더라도 배당기준일에는
주주명부에 내 이름이 남아 있을 테니, 배당금을 받을 수 있어요.
미국주식도 동일한가요?
미국주식에는 '시차'라는 변수가 있어요. 그래서 일반적으로
배당기준일로부터 3영업일 전 장이 마감되기 증권사 앱에서
'매수하기' 버튼을 눌러 거래 성사가 되어야 합니다.
오늘의 포스팅 도움이 되셨나요?
궁금한 점 댓글로 남겨주세요 :-)